행복한 결혼관계/자동적으로 오는 사랑의 결과가 아니다 /[책] 재혼 후 가정관리<3>
행복한 결혼관계는 자동적으로 오는 사랑의 결과가 아니다 /[책] 재혼 후가정관리<3>
- 재혼가정을 위협하는 변수파악과 대응하기 -
재혼후가정관리
https://www.bookk.co.kr/book/view/44722
결혼은 성취와 행복,
그리고 어떤 문제의 해결 수단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사실상 새로운 문제를 일으키고 현재의 난관을 악화 시킬 수 있다는 것도 명백하다.
이것은 물른 모든 결혼이 다 반드시 불행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다만 행복한 결혼 관계는
두 사람이 결혼식 때 깊이 사랑하고 있었다는 사실로부터 자동적으로 오는 결과가 아니라는 뜻이다.
특히 대부분의 부부들이 아이들을 데리고 오는 재혼의 경우에는
로맨스와 함께 한 가족이 아닌 두 가족을 관리해야 하는 실질적 측면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이 말은 아이들이 휴일을 이용하여 따로 사는 부모님 집을 오갈 때,
모처럼 방문한 자녀와 휴일 시간을 함께 보내고 숙제를 도와주다보면 정작 부부가 함께하는 시간이 없거나 부족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파트너 한쪽의 자녀만 있는 경우에도 힘든데
부부각자의 자녀들이 있는 경우 더 바쁜 시간을 보낼 수밖에 없다는 것이 현실이다.*
이처럼 재혼도 사랑만 가지고는 안 되고
재혼가족 모두가 새로운 가족을 받아 들여 새로운 가정을 구축 해야겠다는
가족모두의 소중한 마음과 실천도 함께 해야 한다는 의미다.**
(목차일부)
제3장 자녀감정 살피기
>자녀교육
>자녀갈등
>자녀방문과 전 배우자와의 연락관계
>아이들이 처해 있는 입장
>아이들 안정시키기
>아이들 감정치료하기
*) By Brittany Wong, Second Marriages Are More Likely To End In Divorce. Here’s Why, huffingtonpost.com, 03/02/2017
**) 오토A.피퍼, 성과 결혼, 전경연&강한균 역, 대한기독교출판사(1992), p.259
재혼후(後)가정관리
(전자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