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고독해질 필요가 있을 때......
누구든 태어나서 선천적으로 고독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때로는 뜻하지 않는 외로움과 고독을 선택해야 할 결단의 순간이 있을 수 있다.
고독을 좋아하는 인간은 없다. 억지로 친구를 만들지 않는 것뿐이지......고독을 좋아하는 인간은 없다. 그저 실망하는 것이 싫을 뿐이기 때문이다.①
진실로 인간이 자신의 정신세계를 넓히기 위해서는 고독해질 필요가 있다. 그래서 고독을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자유도 사랑하지 않는 사람이라고도 한다.②
우리가 한때나마 우리를 외부와의 세계와 단절을 시도하여 나 자신을 충전 시켜야 한다면 그것은 나 자신의 삶을 위한 고독과 명상 속에 들어갈 때뿐이다.
당신은 평안과 만족을 얻으려면 그것이 필요하다. 그것은 당신 영혼의 갈증을 해소시키는 샘이다. 그것은 당신이 당신의 모든 경험으로부터 진실로 가치 있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실험실이다. 그것은 당신에게 생기는 불미스러운 사건들 때문에 인생의 기초까지 동요될 때 당신을 안정시키는 안식처다.③
우리는 오직 고독과 명상 속에서만이 시간으로부터 분리되고 자아의 내면속에서 혼을 만나게 되고 지고한 존재의 가치를 맛보게 된다. ④
어떤 샘들은 우리가 혼자 있을 때만 찾을 수 있다...전체 인간관계 그물망의 필수불가결한 중심이 될 단단한 한 가닥인 자기의 진정한 본질을 재발견하기위해서는 고독이 필요하다⑤
스마트폰을 비롯한 network 이 삶의 방식을 바꾸는 세상...... 하지만 ‘고독’은 절망이나 ‘고립’의 아닌, 나 자신의 필요와 욕망, 본연의 자아와 만나고 창조력과 삶의 원동력을 얻을 수 있는 시간임을 알려 준다.
pixabay
홀로 있는 시간은 / 본래적인 자기로 돌아올 수 있는 기회입니다. / 발가벗은 자신과 마주할 수 있는 유일한 계기입니다.
하루하루를 내가 어떻게 살고 있는지를 / 비춰볼 수 있는 거울 앞입니다. / 그리고 내 영혼의 무게가 얼마쯤 나가는 지 / 달아볼 수 있는 그런 시간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외부의 빛깔과 소리와 냄새와 맛과 / 그리고 감촉에만 관심을 쏟느라고 저 아래 바닥에서 / 올라오는 진정한 자기 소리를 듣지 못하고 있습니다.
찻간이나 집 안에서 별로 듣지도 않으면서 라디오를 켜놓는 것은 / 그 만큼 우리들이 바깥 소리에 깊이 중독되어 버린 탓 입니다. / 우리는 지금 꽉 들어찬 속에서 쫓기면서 살고 있습니다. / 여백이나 여유는 조금도 없습니다.
시간에 쫓기고, 돈에 쫓기고 일에 쫓기면서 허겁지겁 / 살아가고 있는 것입니다. / 쫓기기만 하면서 살다보니 이제는 쫓기지 않아도 될 자리에서조차 / 마음을 놓지 못한 채 무엇엔가 다시 쫓길 것을 찾습니다.
오늘 우리들에게 허(虛)가 아쉽습니다. / 빈 구석이 그립다는 말입니다. / 일, 물건, 집, 사람 할 것 없이 너무 가득 차 있는 데서만 / 살고 있기 때문에 좀 덜 찬 데가, 좀 모자란 듯한 그런 구석이 / 그립고 아쉽습니다
- <홀로 있는 시간은> / 류시화 -
고독은 자신의 성찰을 위한 내면적 삶의 여유이자 멋이다
① 무라카미 하루키/상실의 시대
② 쇼펜 하우어
③ 마가렛 뮬락
④ 오죠 라즈니쉬
⑤ 캐롤M.앤더슨&수잔 스튜어트 단독비행, 엄영래 옮김. 또 하나의 문화(1999)p.357
공돈 생긴 어느 노숙자의 놀라운 선택/kbs (0) | 2017.09.03 |
---|---|
[기자노트] 실패의 미덕, 상상력의 중요성 법률저널 (0) | 2017.08.23 |
10년간 세계일주 하면서 아이 넷 낳았어요/오마이뉴스 (0) | 2017.08.22 |
아빠에게 아기를 맡기면 안 되는 이유(2) /모바일타임스 (0) | 2017.08.18 |
홍천악기 박물관 (0) | 2017.08.11 |
강화 석모도 어류정항 (0) | 2017.07.23 |
강화교동도/다리연결 (0) | 2017.07.23 |
구로구(청) 착한 서비스;그늘막 텐트 설치 (0) | 2017.06.23 |
울 엄마 얼굴이 가장 받고싶은 상 … 네티즌 울린 '6학년의 시' /국민일보 (0) | 2017.05.29 |
1-2 모든 화(禍)는 입에서 나온다 (0) | 2016.01.1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