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졸혼)/졸혼에피소드5

[간헐적결혼생활과/졸혼⑤]결혼생활의 ‘유연성’과 졸혼 [간헐적결혼생활과/졸혼⑤] 결혼생활의 ‘유연성’과 졸혼 posted 2019.02.22 / updated 2020.09.06 결혼관계에서 유연성을 통한 휴식을 갖자고 해서 일탈의 시간을 갖거나 현재의 부부관계에서 헌신적인 관계를 포기 한 것처럼 행동하자는 뜻은 아니다. 이것은 또한, 만약 우리들에게 아이들이 있다면 일시적으로 그곳에 머무르지 않는다고 해서, 우리 중 한 명이 가정을 꾸려 나갈 책임을 회피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여전히 한 가정을 운영하는 동업자, 집주인 그리고 부모가 되어야 한다. 일전 MBN의 신규 관찰 예능 '따로 또 같이 부부라이프-졸혼수업'을 통해 연인에서 부부로 긴 세월을 함께해 온 연예인 부부들을 통해 색다른 싱글 라이프를 시청자들에게 선 보였다.1) 이미 국내.. 2020. 9. 6.
[간헐적결혼생활과/졸혼④] 졸혼은 결혼생활에서 ‘별거’와 다른 자기 삶을 찾는 형태 [간헐적결혼생활과/졸혼④] 졸혼은 결혼생활에서 ‘별거’와 다른 자기 삶을 찾는 형태 posted 2019. 2. 10 / updated 2019.12.05 Ⅰ 집을 지을 때 설계도를 먼저 그리듯이 우리 인생도 설계가 필요하다. 어떤 사람들은 40대에 무엇을 이루고 50대에 무엇을 할 것인지 어릴 때부터 디테일하게 설계를 하기도 한다. 그렇게 해서 설계한 대로 차근차근 목표를 달성한 경우도 있지만 실은 이런 구체적인 설계 없이 그저 평범하게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훨씬 더 많다. 또 젊은 날에 자신의 인생을 설계했더라도 그대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극히 드문 것도 사실이다.1) 니시 유리코(66)씨는 최근 남편 이토 요시히데(63)씨에게 부부 생활 36년간 한 번도 하지 않았던 질문을 던졌다. '평소 꿈꿔 .. 2019. 12. 5.
[간헐적결혼생활과/졸혼③] 졸혼은 부부 삶을 확장하기 위한 ‘기능적 관계’에 그 초점을 맞추는 것 [간헐적결혼생활과/졸혼③] 졸혼은 부부 삶을 확장하기 위한 ‘기능적 관계’에 그 초점을 맞추는 것 posted 2019.02.05 / updated 2019.11.19 Ⅰ 모든 성공적인 결혼에는 지속적인 유연성을 필요로 한다. 이 말은 결혼생활에서 내부적으로 일어나는 단계마다 단계적인 대응이 필요하고 필요시 이에 따른 변화에 적응해야 한다는 것이다.한 가족 전문가는 결혼에는 다섯 가지 생애과정 주기가 있다고 말한다.1) △결혼부터 첫 아이의 출생 때까지 △첫 아이가 학교에 들어갈 때까지 △이후 태어난 아이들을 기르는 것, 즉 양육기간 △첫 아이부터 시작해서 막내아이들 까지 모두 성장 후 집을 떠날 때 △그리고 부부만 남은 ‘빈둥지기간’을 거친다는 것이다.이러한 각각의 변화는 특히 자녀가 독립한 마지막 단.. 2019. 11. 20.
[간헐적결혼생활과/졸혼②] 중년 공주병(Midorexia)과 졸혼 [간헐적결혼생활과/졸혼②] 중년 공주병(Midorexia)과 졸혼 posted 2019.01.31 / updated 2019.11.14 Ⅰ 실제보다 더 늙게 느끼든 젊게 느끼든지, 실제 나이와 그에 대한 느낌은 우리의 사고방식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영국인 기자 셰인 왓슨(Shane Watson)이 2016년 자신의 나이를 고려하지 않고 몸과 마음이 가는 데로 따라 살고 자하는 욕망을 표출하는 중년의 세대를 지칭한 이른바 ‘중년공주병’(Midorexia)1)은, 어떤 면에서 중년세대들이 젊음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자존감 위기의식으로 표출된다. 칠레 디에고 포탈레스(Diego Portales)대학의 다니엘라 카라스코(Daniela Carrasco)교수에 따르면, 중년 공주병은 느닷없이 나타나지는.. 2019. 11. 14.
[간헐적결혼생활과/졸혼①] ‘결혼식’은 하루 만에 끝나지만 ‘결혼’은 평생을 함께 하는 것 [간헐적결혼생활과/졸혼①] ‘결혼식’은 하루 만에 끝나지만 ‘결혼’은 평생을 함께 하는 것 posted 2019. 1. 24 / updated 2019.11.02 Ⅰ 결혼이란, 일생동안 두 배우자가 나누는 변증법적인 교류, 즉 죽기 전까지 두 남녀가 끊임없이 서로 밀고 당기는 결합이 영원을 발견하는 특별한 통로이며 개인의 완성을 우한 특별한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이 통로의 근본적인 특징은 탈출구가 없다는 사실이다. 성자와 같은 은둔자들이 그들 자신을 벗어 날수 없듯이, 결혼한 사람은 자신이 배우자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 이처럼 부분적으로는 고귀하며, 또 한편으로는 고통스럽게도 탈출구가 없다는 점이 바로 이 통로(결혼)가 지니고 있는 특징 이었다.1)하지만 지금은 결혼을 종결하는 ‘이혼’이 자리 잡았고.. 2019. 1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