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졸혼)/졸혼의사회학34

[졸혼의 사회학]25 졸혼은 생의 후반기 꿈에 대한 설계 [졸혼의 사회학]25 졸혼은 생의 후반기 꿈에 대한 설계 1) 최근 ‘졸혼연습’이라는 프로그램이 전파를 탔다.중년의 부부가 프로그램의 주인공이었다.그런데 우리가 이 프로그램에서 주인공의 한측인 부인이 젊은 시절 거문고 연주자였고 결혼과 동시에 내조? 때문인지 연주활동을 끝내버린, 즉 폐기한 상태임을 알게 되었다.방송화면에서는 베란다 창고에서 먼지에 쌓인 그래서 긴 세월 동안 침묵을 지킨, 긴 기타형태의 검정가죽 커버를 들고 나왔는데 거기에서 거문고를 꺼내는 장면을 보여줬고, 주인공 당사자 역시 감회어린 표정으로 거문고 연주 형태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그러면서 배경자막 사진에는 젊었을 때 거문고 연주를 했던 한창때의 전성기 사진을 비추어 주었다.2) 결혼을 하면서 부부가 다 저마다 사연을 쌓아 가면서 부.. 2018. 5. 30.
<졸혼의 사회학>24 “대부분의 사람이 자기가 뭘 하고 싶은지 전혀 모른 채로 인생을 살아간다.” 24 “대부분의 사람이 자기가 뭘 하고 싶은지 전혀 모른 채로 인생을 살아간다.” “대부분의 사람이 자기가 뭘 하고 싶은지 전혀 모른 채로 인생을 살아간다.”라는 말은 프롤로그 첫 문장에 나오는 말이다. 또 무엇에든 흥미가 없고, 의욕이 생기지 않는 시기를 일컬어 '노잼시기'라 한다.졸혼은 바로 중장년층 결혼의 어느 한 시기쯤 바쁘게 돌아가는 인생, 일상성 속에 사로잡혀 삶의 흥미를 잃어버릴만한 시기에 한번밖에 살수 없는 삶을 과연 이렇게 흘려보내도 되는가에 대해, 자신의 삶에 의문을 갖고 한번 삶에 대해 생각해 보자는 것이 ‘졸혼’이다.이는 우리와 연결되었던 과거의 이전세대와 달리 기대수명의 연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전세대에서는 결혼을 하고 아이들을 키우다 보면 어느덧 인생의 종막을 고하고...... 2018. 5. 3.
[졸혼의사회학] 23.황혼이혼 비율이30.4%에서 33.1%로 증가 [졸혼의사회학] 23.황혼이혼 비율이30.4%에서 33.1%로 증가 사회 구조적 요인에 의해 결혼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면서 비례해서 출산율 이혼율도 낮아질 수밖에 없다그런데 '황혼이혼'비율은 오히려 더 높아졌다.엊그제 국가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년 이상 결혼생활을 유지하다 갈라서는 소위 '황혼이혼'비율이 2016년 30.4%에서 2017년에는 33.1%로 오히려 늘어났다.중장년의 이혼비율이 4년 이내 이혼하는 '신혼이혼' 비율을 넘어선 것이 2012년부터인데.......계속 늘어나는 우리 어머니 아버지들의 이혼비율은 가정의 존립바탕 자체를 흔들어 버리는 것이다.이런 양상은 공무원 연금 분할 청구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선진국들 모임인 OECD 국가들의 '20년 이상 이혼 평균이 2.. 2018. 3. 23.
<졸혼의사회학>22. 졸혼 할 바 엔 차라리 이혼을 한다고? 졸혼 졸혼이야기 재혼 재혼이야기22. 졸혼 할 바 엔 차라리 이혼을 한다고? 종이책출간정보 http://www.bookk.co.kr/book/view/35854 간간히 방송 소재로 나오는 졸혼 이야기. 대부분 가벼운 정도의 얘기이고 웃음을 유발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출연자가 얘기하는 내용에 그 뜻을 그리 무겁게 두어서 생각할 필요는 없을 것 같기도 하다. 소재 자체에 대해 그리 크게 비중을 두어서 얘기하는 것도 아니고 또 각자 ‘졸혼’에 대한 생각도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톨스토이가 안나 카레리나를 통해 행복한 부부 또는 결혼은 공통점이 있지만 불행한 부부 이혼한 부부들은 그 이유가 각각 다르더라는 얘기는 일견 진리이고 정답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이런 상황에서 졸혼을 대하는 자세 또한 그리고 졸혼에.. 2018. 2. 19.
졸혼의사회학21/졸혼계약서의 ‘방식’과 졸혼계약서 담을 ‘내용’들 졸혼 졸혼 이야기 졸혼계약서 종이책출간-http://www.bookk.co.kr/book/view/35854 졸혼의사회학21/졸혼계약서의 ‘방식’과 졸혼계약서 담을 ‘내용’들 사실 ‘계약’이란 말은 당사자 간의 손익을 규정하기 위한, 그래서 그 의미나 목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가장 확실한 표현이다. 그런데 졸혼은 여전히 법적으로 부부관계를 유지 한 상태인데도 불구하고, 부부간에 삶의 방식을 규정하는데 권리관계를 명시하는 형태의 ‘계약’이라는 말을 쓰는 것에 대해서 상당한 반감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 부분이 바로 ‘졸혼’이 말장난 · 비아냥의 대상 혹은 조롱거리로 전락되는 빌미가 되고 그럴 바에야 차라리 이혼 하는 게 낫다는 얘기가 나오는 계기가 된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분명히 글을 쓰는 이 시각.. 2018. 1. 13.
졸혼의사회학 20/ 20대가 네이버 국어사전에서 '졸혼'이라는 용어를 제일 많이 검색한 이유 졸혼 졸혼이야기 재혼 재혼이야기 졸혼의사회학 20/ 20대가 네이버 국어사전에서 '졸혼'이라는 용어를 제일 많이 검색한 이유 이제 2017년 한해가 마무리되기 직전이다.그러다 보면 지난 한해 중 이슈가 되었던 문제들을 되짚어 봄으로써 지난시간의 기억들을 정리하게 된다.그중 하나가 ‘졸혼’에 관한 이슈내용이다네이버 국어사전 검색에서 '졸혼'이라는 용어가 1위에 오르게 된 사연인데, 당연히 지금까지 논해 왔던 졸혼의 개념을 비추어 보면 중년이후 50~60대의 접속이 많을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20대가 가장 많이 검색해본 용어로 나타났다. 의외의 결과이기도 하다.하지만 모든 면에서 호기심이 가득한 20대에서 새롭게 진입한 ‘졸혼’ 적어도 사랑 연애 결혼과 연관되어진 용어라고 생각한다면 그리 놀랄 일도 아닐 것.. 2017.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