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은 변한다’/<책-열아홉살이사랑을묻다>①
우선 이 텍스트의 집필 동기는, 역설적이지만 ‘사랑은 변한다’는 것을, 사랑은 변할 수도 있다는 것‘을 전제로 책의 내용을 전개하고 있다.
바다의 밀물과 썰물의 작용에 비유한다면 이 책은 사랑에 관한 ‘썰물’에 대한 이야기다.
인생을 “B와 D사이의 C”라고 간결하게 표현한 것은 실존주의 철학자 장 폴 샤르트르(Jean Paul Sartre)였다.
그가 ‘인생을 b(birth)와 d(death)사이의 수많은 c(choice)로 이루어진다’고 했을 때, 생사(生死)는 우리의 통제영역 밖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내 운명을 가르는 사랑의 선택은 오로지 나의 책임, 우리의 통제영역 안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 텍스트는 선택의 영역 안에 들어온 사랑의 개념을 이해하고 접근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운명처럼 다가온 사랑이 변할 수 있다는 것을 기정사실화 한다면 우리역시 사랑에 대한 태도나 사랑을 보는 시각이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럼 왜 그토록 굳건히 믿었던 사랑이 달라지고 변화를 겪는가?
그 답을 이 책에서 구해 보자.
제1장에서는 뇌의 편의적 진실을 다룬다.
사랑의 화학물질과 호르몬의 작용은 처음 파트너를 만날 때 무조건 받아들이도록 최적화 시킨다.
뇌의 진화단계에서 종족의 번식을 위해 이성적 판단능력 스위치를 잠가 상대의 단점보다 결합을 최우선으로 하도록 조치 한 것이다.
이후 콩깍지가 벗겨지거나 사랑의 유효기간이 종료되어 사랑이 변한다면, 이건 상대의 품성이나 인성과는 별개로 순전히 뇌 설계자의 농간 문제임을 알 수 있다.
요즘 유행하는 ‘남 탓’, 즉 뇌의 탓으로 돌려도 무방할 것이다.
제1장 사랑의 기만에 참여하는 뇌의 편의적 진실 1. 사랑은 화학물질이 신경 활동을 일으키는 현상 2. 사랑에 빠지게 하는 화학물질과 호르몬의 작용 3. 사랑에 집착하는 세로토닌과 사랑의 콩 깍지 페닐에틸아민 4. 영원한 사랑을 보증하는 옥시토신과 달콤한 낙원의 사과 ‘도파민’ 5. 첫눈에 빠지는 사랑 6. 광기에 따른 비이성적인 행동과 신경중심주의 비판 7. 우리가 사랑에 대해 착각하는 것들 |
‘사랑은 화학 작용일 뿐’ / [책] 열아홉 살이 사랑을 묻다 <3> (0) | 2021.04.28 |
---|---|
‘뇌의 변연계’-사랑의 시작/[책]열아홉 살이 사랑을 묻다① <2> (0) | 2021.04.12 |
타투 ‘주홍글씨’로 남을 추억의 문신들/[책-열아홉살이사랑을묻다]④ (0) | 2021.02.24 |
‘썸’/어장관리/밀당/<책-열아홉살이사랑을묻다>③ (0) | 2021.02.22 |
‘남사친/여사친’의 존재와 그 인정여부/<책-열아홉살이사랑을묻다>② (0) | 2021.02.21 |
[책]열아홉살이사랑을묻다 (0) | 2021.02.03 |
열아홉살/열아홉 살이 사랑을 묻다[신간] (0) | 2020.12.25 |
사랑을 우선 글로 배우자/열아홉살이 사랑을 묻다/[신간] (0) | 2020.12.22 |
수능 마친 수험생에게 필요한 선물/[신간]열아홉 살이 사랑을 묻다 (0) | 2020.12.09 |
열아홉 살의 사랑/'열아홉 살이 사랑을 묻다'-신간 (0) | 2020.12.0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