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녀와 함께하는 재혼가정의 이해 -
재혼가정을 혼합가족, 의붓가족이라고 이야기 할 때
이는 일반적으로 한 부모 또는 두 부모가 이전 관계에서 자녀를 새로운 가족 구조로 데려오는 것을 포함한다.
재혼 가족이 이제 점차 더 흔해짐에 따라,
그들의 고유한 역학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혼 가족은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만,
이러한 경험에서 많은 긍정적인 측면이 생길 수 있다. 재혼 가족 환경에서 사는 것의 이점으로
다음과 같은 관점들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강화된 지원 시스템 재혼가족의 일원이 되는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확장된 지원 시스템을 획득하는 것이다.
두 가족이 함께 모이면 집안일을 돕고,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고, 어린 자녀를 돌보는 등 책임을 공유할 수 있는 사람이 더 많아진다.
이런 큰 가족 단위는 필요할 때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이 더 많다는 것이고 이를 통해 가족구성원은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계부모와 계형제가 추가되면 더 강력한 관계를 구축하고 모든 사람의 웰빙을 지원하는 팀과 같은 환경을 만들어 나갈 수 있다.
다양한 관점과 삶의 경험 재혼가족은 종종 서로 다른 배경, 경험, 사고방식을 가진 개인의 집합체이다.
이러한 다양성은 새로운 전통, 아이디어, 문화에 노출되면서 세상에 대한 관점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혼가족의 아이들은 또 다른 형제의 생일이나 입학, 졸업, 기념일등을 축하하거나 세상의 관점을 다르게 보던 형제들과 함께 함으로써 더 적응력이 강하고 열린 마음을 갖게 된다.
이러한 경험은 미래의 당신이 더 나은 사회적, 정서적 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는 개인적 성장과 삶의 성공에 필수적이다.
강화된 갈등 해결 기술 재혼가족은 구성원들이 새로운 역할과 관계에 적응하는 법을 배우면서 처음에는 더 많은 갈등에 직면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또한 더 강력한 갈등 해결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는다.
재혼가족에서는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필수적이다.
각 개인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과정에서 타협, 인내, 공감을 규칙적으로 실천함으로써 가족 구성원은 차이점을 해결하고 함께 일하는 법을 배운다. 이러한 기술은 가족 관계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학교, 직장 또는 우정과 같은 삶의 다른 영역에서 준비된 개인으로 정착하는데 도움을 준다.
가족 간의 유대감 기회 증가 재혼가족은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만든다.
가족여행, 단체운동 같은 공동 활동을 통해서든, 단순히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을 통해서든, 이러한 경험은 관계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가족으로서 새로운 전통을 만드는 이러한 공유 경험은 더 큰 소속감을 제공하고 의붓형제 자매와 의붓부모 사이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물른 이러한 연결을 구축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형성된 기억과 관계는 보람 있고 오래 지속될 수 있다.
유연성과 적응력 학습 재혼가정에서 개인이 발달시키는 주요 특성 중 하나가 적응력이다.
새로운 일상, 가정의 역학관계, 관계에 적응하려면 유연성이 필요한데, 이는 귀중한 삶의 기술이다.
어린이와 성인 모두 환경의 변화를 관리하고 열린 마음으로 상황에 접근하는 방법을 배운다.
새로운 도전에 적응하는 이러한 능력은 가족 구성원이 예상치 못한 상황을 처리하고 전환을 탐색하는 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회복력을 촉진한다.
유연성은 또한 두 가족을 혼합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하여 구성원이 더 강력한 관계를 형성하고 새로운 역할을 보다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처럼 재혼가족에서 사는 것은
강화된 지원 시스템부터 갈등 해결 및 적응력과 같은
중요한 생활 기술 개발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가족을 혼합하는 과정에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수 있지만 잠재적인 보상은 상당하다.
재혼가족은 성장, 사랑 및 연결의 기회를 제공하며 새로운 경험과 관점을 제공한다.
재혼가족 구성원은 도전과 이점을 수용함으로써
관련된 모든 사람을 위해 조화롭고 번영하는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실제 재혼 전 한부모 가정일 경우, 대부분 배우자의 이혼이나 사망으로
상당한 소득 손실은 피 할 수 없다.
그래서 편부모 시절에는 종종 매월 지출된 카드의 만기를 맞추기 위해 전전긍긍 한다.
하지만 재혼가정은 자녀에게 보다 안정적인 재정적 기반을 제공하기도 한다.
부모가 재혼 할 때, 그들의 결합된 자원은 가족에 대한
재정적 걱정으로부터 안전의식을 제공 할 수 있다.
소득증대는 자녀들에게 경제적 결핍으로 인한 행동제약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써
더 많은 활동 기회를 제공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트레스 감소 효과도 기대 할 수 있게 된다.**
재혼이 재혼가족 구성원 간 친밀감이 적고 스트레스에 직면하는 횟수가 결코 적다고 볼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재혼가족 아이들이 곤경에 빠지는 것은 아니다.
그들 또한 많은 ‘관계상의 원리’를 습득 하게 된다.
재혼가족 내에서 이질적인 구성원들이 어떻게 해야 함께 한 팀을 이루면서
살아 갈 수 있는지를 배우는 삶의 기술과 지혜를 체험하게 된다.
이런 경험들은 아이들이 향후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인간관계의 기반을 이루는 유무형의 자산이 될 것이다.***
>“우리 식구는 함께하는 시간이 휠씬 더 많았기 때문에 따로 살고 있는 친가족보다도 더 가깝습니다.”
>“사랑을 더 많이 받기 때문에 가정이 둘이라 게 정말 좋아요.”
>“누구나 상처를 받고 누구나 살아남지요. 처음에는 제가 극복해 낼 수 없을 거리고 생각했어요.
이제는 제가 그 정도보다는 휠씬 강하다고 생각해요.”
>“지금은 새로운 사람이 많이 생겼어요. 할아버지, 할머니도 많이 생겼어요.
정말 재미있고 좋아요.”
>“이제 친구도 더 많아지고, 선물도 더 받고, 축하할 일도 많아지고,
사랑해주는 어른들도 많아지고, 집에는 같이 놀 아이들도 늘어나고, 갖고 놀 물건도 더 많아졌어요.”****
아이오와 대학교의 심리학 교수 존하비(John Harvey)와
미주리-컬럼비아 대학교의 인간발달 및 가족학과 교수인 마크파인(Mark Fine)의
공동저서「이혼한 가정의 아이들」(Children of Divorce)은
재혼(이혼)가정에서 성장한 1,000명이 넘는 대학생들의
개인적 서사를 바탕으로 이혼(재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내용인데,
대부분의 아이들이 부모의 이혼으로 인해 돌이킬 수 없이 상처를 받을 것이라는 주장에 도전하면서,
일부 이야기는 많은 사람이 가족 내 이혼을 다루는 데서
배운 힘과 회복력을 분명히 보여 준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이혼과 재혼은 총체적 파국이 아니라
새 출발점이라고 강조한다.
실제 재혼 가정의 아이들은 어른들 생각보다
훨씬 현실적이며 새 환경에 잘 적응했다.
부모의 이혼과 재혼이 아이들에게 충격과 상실 등을 안기는 건 분명하지만
아이들은 결국 부모 이혼을 불가피한 선택으로 받아들였다.
책에 따르면 아이들이 현실(부모의 이혼과 재혼)의 고통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살아가는 데 긍정적이고 성숙한 에너지로 작용한다.******
“나는 집이 두 군데라 좋아요.
컴퓨터도 텔레비전도 두 대잖아요.
아빠 집에 가면 엄마 집에는 없는 신기한 물건들이 엄청 많아요.
아빠의 새 여자 친구도 마음에 들어요.
물른 엄마의 새 남자 친구인 파트릭 아저씨랑도 잘 지내고요.
매주 완전히 다른 생활을 하는 건 좀 이상한 느낌이긴 해도 즐거워요”(마리우스, 10세) *******
* by Secure Teen, Benefits of Living in a Blended Family Environment, secureteen.com, Posted Date: October 26, 2024
** Darlene Zagata, Advantages of a Blended Family, livestrong.com, 2015.12.28
*** Topic 18. Remarriage and Stepfamilies, uakron.edu
**** E.B.비셔& J.S비셔, 재혼가정치료, 반건호& 조아랑 역, 도서출판 빈센트(2003), p.252
***** By John H. Harvey, Mark A. Fine, Children of Divorce, routledge.com
****** 한국아이닷컴 조옥희 기자, 재혼 대세 됐다지만 현실은 "글쎄…"그와 그녀의 선택 '두 번째 결혼', 2013.12.21
******* 크리스토프 포레, 재혼의 심리학, 김미정 옮김, 푸른숲(2016), p.283-284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60620425
재혼가정의 정립과 자녀문제 | 강희남 - 교보문고
재혼가정의 정립과 자녀문제 | 책 소개 ‘재혼에 적합한 시기는 없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재혼부모들이 각자 자신의 자녀를 데리고 재혼하는 경우, 언제든 항상 가족관계로 인해 문제가
product.kyobobook.co.kr
여전히 불화의 근원에는 자녀 문제가(1) / [책] 재혼가정의 정립과 자녀문제<13> (0) | 2024.05.10 |
---|---|
재혼부모가 되기 위해서는 DNA가 아니라 사랑이 필요하다/[책]재혼가정의 정립과 자녀문제<1> (0) | 2023.08.28 |
의붓딸에게 전한 특별하고도 가슴 뭉클한 서약 / [책] 재혼가정의 정립과 자녀문제<10> (0) | 2022.10.11 |
자녀가 있을 경우/자녀를 설득하는 것이 재혼보다 먼저 해야 할 일 / [책] 재혼가정의 정립과 자녀문제<7> (0) | 2022.05.28 |
버려지는 아이들 / [책]재혼가정의정립과자녀문제<6> (0) | 2022.02.05 |
현실적인 기대치 만들기/[책]재혼가정의정립과 자녀문제 (0) | 2021.10.12 |
[재혼가족]새부모와 새자녀간 '호칭'문제 (0) | 2021.06.28 |
이혼 과정에서 '자녀들의 수난' / [책] 재혼가정의 정립과 자녀문제<5> (0) | 2021.06.16 |
"내가 너의 아빠가 되어도 되겠니?" / [책] 재혼가정의 정립과 자녀문제<4> (0) | 2021.05.07 |
재혼가족은 인간관계 중 가장 복잡하고 까다로우며 부자연스러운 관계/재혼가정의 정립과 자녀문제<3> (0) | 2021.04.20 |
댓글 영역